구상성단
명칭: M13, NGC 6205 헤라클레스 구상성단 (The Great Hercules Globular Cluster)
별자리: 헤라클레스 자리 (Hercules)
겉보기등급: 5.8 등급
겉보기크기: 20.0'
거리: 25,100 광년
나이: 약 120 억 년
별의 수: 약 100,000 개
구상성단은 수 백 만개의 별들이 둥글게 퍼진 모습에서 구상성단이란 이름이 붙어졌답니다. 맑은 날 높은 배율로 구상성단을 보면 작은 별들이 가득히 모여 있어 보석으로 장식된 악세사리처럼 정말 아름답게 보입니다.
여름 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인 헤라클레스 자리에 있는 M13 구상성단으로 북반구에서 가장 유명합니다. 맑은 여름밤에 200배 이상의 고배율로 보면 성단 안의 별들이 하나하나 구분되어 멋집 모습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가을 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인 페가수스 자리에 있는 M15 구상성단입니다. 구상성단은 비슷해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별들이 모인 밀집도나 가운데에서 밖으로 퍼지는 부분 등이 조금씩 다릅니다.
산개성단
명칭: NGC 884, NGC 869
별자리: 페르세우스 (Perseus)
겉보기등급: 4.4 등급, 4.3 등급
겉봅기크기: 30' X 30'
거리: 7400 광년, 7100광년
나이: 320만 년, 550만 년
별의 수: 약 2,000개
산개성단(Open Cluster)은 성운에서 같이 태어난 별들이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 별의 모임입니다. 이름처럼 구상성단보다 밀집도가 낮아 수 백 개의 별이 모여있는 것입니다. 우리 은하 안에는 약 150개의 산개성단이 있습니다.
독수리자리와 방패자리
하늘 곳곳에는 눈으로 보이지 않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별들이 많이 모여 성단이라 불리는 곳이 있습니다. 여름철 방패자리 방향에는 오리들이 무리를 지은 듯 꽃이 피어난 듯 보이는 별들을 볼 수 있습니다. 가득한 별무리를 확인해보세요.
페르세우스자리와 카시오페이아자리
가을 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인 카시오페이아와 페르세우스 사이에는 지구에서 7,000광년 떨어진 두 개의 산개성단이 있습니다. 각 각 2,000개 정도의 별들이 모여있어 망원경으로 가득한 별의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
행성상성운
명칭: M57, NGC 6720 고리성운(Ring Nebula)
별자리: 거문고 자리(Lyra)
중심성등급: 14.7 등급
성운겉보기등급: 8.8 등급
성운겉보기크기: 1.4'X1.0'
실제크기: 0.9 광년
거리: 2,300 광년
우리 태양과 같은 평균 크기의 별들은 마지막에 적색거성이라는 아주 커다란 별로 부풀어 오르고 이 부푼 부분이 우주로 퍼져 나가는 행성상성운이 됩니다. 이렇게 행성상성운은 죽어가는 별의 모습입니다.
왼쪽 고리성운은 태양질량의 1.2배인 별이 8,400년 전에 수명을 마치고 우주로 퍼져나가는 모습입니다. 50억 년 후 우리 태양이 이와 같은 모습이 될 것이기에 더 많은 관심을 주는 천체입니다.
거문고 자리 M57 고리성운
행성상성운 중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것으로(1764년 샤를 메시에 발견) 현재도 20km/s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으며 앞으로 수 만 년 후에는 사라지게 된답니다. 구경이 큰 망원경으로 보면 가운데가 뻥 뚫린 고리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은여우 자리 M27 아령성운
최초로 발견된 행성상성운으로(1764년 샤를 메시에 발견) 북반구 하늘에서 가장 밝은 행성상성운입니다. 48000년 전에 수명을 마친 별이 우주로 퍼져나가는 모습이랍니다. 헬스기구 아령 혹은 우리나라 전통악기 장구 모양을 닮은 성운을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
'INT:erest >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성과 유성(별똥별) 총정리 (0) | 2022.09.02 |
---|---|
여름의 대삼각형, 여름철 별자리 (0) | 2021.04.27 |
댓글